엄마

엄마

 

 

대패는기억의

표피부터 깎아낸다.

 

세월의 맨 안 벽에

옹이처럼 새겨진 말

 

엄마아,

보석 같은 말

지워지지 않는 그 말

 

 

2017. 8. 24

posted by 청라

낮달

낮달

 

 

너무 밝은 세상이 때로는

절망이 되는 것을 알았다.

 

화장을 지운 민낯으로

넋 놓고 앉아

눈물의 바다에 떠 있었다.

 

, 사랑을 불태우고서

삭정이만 남은 여자야

 

해가 기우는 쪽으로

시간의 추를

좀 더 빠르게 돌려주고 싶었다.

 

 

2017. 8. 18

posted by 청라

산나리꽃3

산나리꽃3

 

 

못나서

숨어 피는 건 아니다.

 

산의 적막이 익을 대로 익어

폭죽처럼 터질 때에도

 

네 웃음은

새벽에 눈뜨는 별을 닮았다.

 

재촉할 줄도 모르고

불평할 줄도 모르는

그냥 서서 반짝일 줄만 아는 사람.

 

어떻게 산은 그렇게도

진한 사랑을

남모르게 배어서 키워 왔을까.

 

산의 마음 가장 안쪽에서

네가 부르면

내 삶의 등에 반짝 불이 켜진다.

 

 

2017811

posted by 청라

산울림이야

산울림이야

 

 

초록이 눈 시린 날

고향 산에 가면

꿈결인 듯 울려오는

따오기 소리

, 산울림이야

 

노을이 꽃물 드는

회재 넘을 때

금방 오마 던지고 간

새빨간 그 말

, 산울림이야

 

201785

posted by 청라

꽃과 나비

꽃과 나비

 

 

깨어진 보도블록 사이에

뽀얀 새살이 돋아났다.

 

민들레 볼을 비벼

보조개처럼 피워낸

하얀 꽃 한 송이

 

자동차 경적소리

칼날 휘두르며 지나가도

나비는 꿈쩍도 않고 앉아있다.

 

가녀린 꽃과

나비 날개가 감싸 안은

세상의 흉한 상처

 

 

2017729

 

posted by 청라

계룡산

계룡산

 

 

계룡산아!

속으로만 나직이 불러도 계룡산은

언제나 내 영혼 속에서 살아난다.

계룡산 보다 더 높은 산은 많지만

더 따뜻한 산은 없는 것 같다.

뾰쪽한 끝은 갈고 갈아

둥글게 하늘을 쓰다듬는 산봉

틈만 나면 박치기로 불을 지르는

양남兩南의 칼날을 부드럽게 감싸주는

충청도 사람들의 마음 같지 않느냐.

골골마다 속으로 키워낸

투명한 물소리를 사방으로 내려 보내

세상의 갈증을 씻어내면서

충청도 사람들이 외로울 때

언제 어디서나 부르면

어머니 같고, 누님 같은

계룡산은 그 큰 품을 열어 꼬옥 안아준다.


 

2017. 7. 14

대전문학2017년 가을호(77)

posted by 청라

사금파리

사금파리

 

 

깨어진 것보다 더 아픈 일은

아무 것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한 움큼의 그리움만 채워도 흘러 넘쳐서

밤이 되어도

별을 담을 수 없는 것이다.

조각 난 사랑 감쪽같이 붙여보지만

아무 일도 없다는 듯 

옛날로 돌아갈 수는 없다.

자갈 사이에 묻혀 

변하지 않았다고 반짝거려도

닿는 것 모두 베어버릴 날 세운 이 몸으로는

당신 가까이 갈 수는 없다.

 

 

2017. 7. 4

2017년 가을호(121)문학사랑』 

posted by 청라

아버지

아버지

 

 

ᄒᆞ나

 

아버지 제삿날 저녁 생전의 사진 보니

지금의 내 모습이 거울 속에 비춰있네.

평소에 못마땅하던 것도 어찌 저리 닮았을까

 

2017, 6. 24

 

 

 

불쌍한 사람 보면 그냥 못 지나가서

동장군 유난하던 정유 겨울 늦은 밤에

추위에 떨던 거지를 집안에 들이시니

 

2017, 7. 2

 

 

 

어머니 가슴에서 형님 뺏어 짊어지고

햇볕 고인 양지쪽에 돌무덤 만들고서

남몰래 쏟은 통곡에 도라지꽃 피었다.

 

2017. 7. 13

 

 

 

육이오 끝 무렵 왼손에 총을 맞아

굽은 손 모진 통증 평생을 살면서도

가족을 먹여 살리려 거친 땅을 일구셨지.

 

2017. 7. 18



다ᄉᆞᆺ

 

아버지 웃음 속엔 고뇌가 절반이다.

저녁에 돌아와서 환히 웃는 얼굴 뒤엔

세상에 휘둘리다 온 아픔이 녹아있다.

 

2017, 7. 3

 

posted by 청라

고가古家 이야기

고가古家 이야기

 

 

그 오래 된 집에

젊은 주인이 들어서면서

오백 년 묵은 향나무는 갈 곳이 없어졌다.

 

나이테마다 어려 있는 역사의 향기도

세월의 아픔을 감싸 안은 둥치도

톱날 아래 무참히 잘려나갈 운명이 되었다.

 

새 주인은

옛날 냄새나는 것들 모두 치워버리고

팬지, 데이지, 베고니아로 화사하게 집안을 꾸미겠단다.

 

나이를 먹는다는 것이

모두 버림받아야 되는 것일까.

향나무 그 옆 꽃밭에 베고니아를 심고

옛날과 지금이 조화롭게 어울리면 안 될까

 

금방 잘려나갈 줄도 모르고

뒤틀린 손발 끝에 힘차게 새싹을 밀어올리는

향나무를 보며

 

주인이 바뀔 때마다

하나씩 잘려나가는 옛날의 굵은 줄기들 너머

잔가지처럼 가늘어져만 가는 나라가 떠오르는 것은 무슨 까닭일까.

 

 

2017. 5. 17

posted by 청라

자연법

자연법

 

 

수달 한 쌍 들랑 달랑

식사를 하고 있다.

 

극락교 아래 물고기가

한 마리씩 지워진다.

 

풍경風磬은 아파 우는데

업연業緣 위에 뜬 구름

 

큰스님 난간에서

허허허 웃고 있다.

 

불법의 나라에서도

자연법이 우선이지.

 

나직히 읊조리는 말

나무 아미 타-

posted by 청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