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869건
- 2016.11.24 그믐달 1
- 2016.11.23 이상한 나라
- 2016.11.20 이 가을에
- 2016.11.18 둥치에 핀 꽃 1
- 2016.11.16 가을 산행
- 2016.11.08 조룡대, 머리를 감다
- 2016.11.07 비둘기
- 2016.10.30 주례사
- 2016.10.25 가림성加林城의 가을
- 2016.10.21 낙화암
글
그믐달
돌무덤에 도라지꽃
일찍 죽은 형님 영혼
어머니 가슴 속에
대못으로 박혔더니
창공에
아픔을 삭혀
밝혀놓은 등불 하나
2016. 11. 24
글
이상한 나라
꽃 한 송이 받아도
벌을 받는 나라
물 한 모금 주어도
죄가 되는 나라
정을 주고 싶어도
줄 수 없는 나라
국민들은 죽어나도
웃고 있는 나라
내 손자 손녀가
살아갈 나라
이 쪽 저 쪽 돌아봐도
막막한 나라
2016. 11. 23
글
이 가을에
술잔에
들국화 한 송이 띄웠다.
아! 가을 냄새
술 마시고
나는 가을에 취해버렸다.
인생 뭐 별 거 있는가.
웃으며 살면 그만이지
넘기 힘든 고개도
한 발 한 발
넘다 보면 정상이라네.
찌푸리고 살지 말고
가을이 오면
그냥 단풍이 되세.
2016. 11. 20
글
사진 김주형
둥치에 핀 꽃
젊음은 벽을 만나도
포기하지 않는다.
불의不義한 역사 앞에서
고개를 숙이지 않으며
내 피를 연소燃燒시켜
거친 땅에 정의正義를 세운다.
사월의 눈보라 앞에서도
굳센 정신의 심지에 불을 붙여
사랑을 완성한
저 꽃을 보라.
청춘은 쉽게 꺾이지 않아서
외로워도 아름답다.
2016. 11. 18
「문학저널」163호(2017년 6월호)
글
가을 산행
오욕을 털어내니
가지들 정결하다
은밀한 골물 소리
속진俗塵을 닦고 있나
지나온 길 돌아보니
허물만 깔려있네.
버리고 다 버려도
사랑만은 못 버려서
하나 남은 단풍잎이
유독 붉게 익어있다.
불타는 외침만 한 등
빈 산 환히 비춘다.
2016. 11. 16
글
조룡대, 머리를 감다
소리치는 사람들은 깃발이 있다.
깃발 들고 모인 사람들은
제 그림자는 볼 줄 모른다.
조룡대에 와서
주먹질 하는 나그네들아
조룡대는 날마다 죽지를 자르고 싶다.
부소산에 단풍 한 잎 물들 때마다
어제보다 더 자란
소정방의 무릎 자국
가슴에 박혀 지워지지 않는 화인火印
지느러미라도 있었다면
천 년 전 그 날
물 속 깊이 가라앉아 떠오르지 않았을 것을
깃발 들고 목청만 높이는 사람들아,
비듬처럼 일어나는 부끄러움을 식히려고
백마강 물살을 빌려 조룡대는
오늘도 머리를 감는다.
2016, 11. 8
『심상 2017년 6월호』
글
비둘기
허기진
비둘기가
눈발을 쪼고 있다.
아무리 삼켜 봐도
요기가 안 되는 눈
십이월 바람의 칼날
서성이는 눈동자
2016. 11. 7
글
주례사
가을이 곱게 익어가는 토요일입니다. 엊그제 플라워랜드에 갔더니 국화꽃들이 농익을 대로 익어서 늦은 가을을 환하게 불 밝히는 것을 보고 ‘아, 원숙하다는 것은 저렇게 아름다운 것이구나.’ 하고 처음 깨달았습니다.
두 사람은 지금까지 서로 다른 환경에서 성장하여 서로 다른 영혼으로 살다가 오늘 비로소 한 몸이 됩니다. 그 모습이 마치 연리지와 같아서 저는 두 사람의 인생이 결혼을 통해 화창해지라고 비는 마음을 연리지를 통해 말해보려 합니다.
연리지는 서로 뿌리가 다른 두 가지가 서로 엉겨 붙어 한 나무로 살아가는 것을 이르는 말로, <후한서> ‘채옹편’에서는 처음으로 ‘효’를 상징하는 말로 쓰였습니다. 두 사람이 하나가 되면 이제 부모님은 네 분이 되겠지요. 자고로 상대편의 부모님께 잘못하고 사랑을 받는 일은 없습니다. 오늘 배우자를 통해 새로 인연을 맺는 부모님을, 가족을 진정 내 부모님, 내 가족이라고 생각하고 최선을 다해 모실 때 더 튼튼하고 싱싱한 연리지가 탄생된다는 것을 신랑 신부는 가슴 깊이 인식하고 실천해주길 바랍니다.
연리지의 상징적 의미는 점차로 ‘남녀 간의 영원한 사랑’, ‘부부애’ 등을 상징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습니다. 뿌리가 다른 나무끼리 한 나무로 살아가며 다시 찢어지지 않기 위해서는 과연 무엇 필요할까요. 저는 바로 변치 않는 사랑이 있어야 한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불같이 뜨겁던 사랑도 잘못 가꾸면 차갑게 식어버리고 맙니다. 이 사랑을 잘 가꾸기 위해서는 늘 배우자를 믿고 사랑하며, 조화롭게 살아가려고 자신을 희생할 때 천 년 만 년 푸름을 잃지 않는 연리지로 살아갈 수 있다는 교훈 또한 깊이 되새길 것을 주례는 신랑 신부에게 당부합니다.
저는 얼마 전 제 세 번째 시집인 <춤바위>에 ‘부부’라는 시를 발표했습니다. 이 시에는 연리지를 통해 깨달을 수 있는 교훈이 가득 담겨 있기에 주례는 하객 여러분이 증인으로 참석한 이 자리에서 신랑과 신부에게 꼭 들려주고 싶습니다.
부부
엄기창
나는 마음의 반을 접어서
아내의 마음 갈피에 끼워 넣고 산다.
더듬이처럼 사랑의 촉수를 뻗어
아내의 작은 한숨마저 감지해 내고는
아내의 겨울을 지운다.
어깨동무하고 걸어오면서
아내가 발 틀리면 내가 발을 맞추고
내가 넘어지면
아내가 일으켜주고
천둥 한 번 일지 않은 우리들의 서른여덟 해
사랑하고 살기만도 부족한 삶에
미워할 새가 어디 있으랴.
늘 마음의 반을 접어 서로의 마음 갈피에 끼우고, 상대방의 작은 번민까지 감지해 지워주려는 마음, 고달픈 인생행로에서 한 사람이발을 틀리면 서로 맞춰가려는 마음, 사랑하며 살기만도 부족한 인생에서 미워할 새가 있겠냐는 강한 의지, 이런 것들을 잊지 않는다면 두 사람의 일생은 분명 행복할 것이라고 확신하며, 다시 한 번 두 사람의 아름다운 새 시작에 축복을 보냅니다.
감사합니다.
2016년 10월 30일
주례 엄 기 창
글
가림성加林城의 가을
백가苩加는 무슨 소망을 돌에 담아 쌓았을까.
가림성加林城의 가을은 억새 울음에 젖어있다.
상좌평上佐平에 있으면서 또 무었을 꿈꾸었기에
피로 일어났다가 피로 쓰러졌는가.
멀리 보이는 금강 하구엔 배 한 척 보이지 않고
부지런한 세월만 바다로 흐르고 있다.
역사 앞에 서면 인생 부귀는 한낱 구름인데
날리는 신문 조각마다 백가苩加가 살아있네.
글
낙화암
백마강으로 돌들이 우수수 떨어졌다.
썩다 만 모과처럼
낙화암은 늘 가슴이 아프다.
아침나절 신음하던 바람들이
절벽을 흔들다가 고란사 종소리를 따라간 후
비가 내렸다.
울고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하루 종일 유람선에서만
조룡대 전설이 피었다 질 뿐
신라도 당나라도 없는 세상에
삼천궁녀의 한숨이 가슴에 닿아
꽃으로 피는 사람 있을까.
하구 둑에 막힌 절규들만 하루 종일
물새 울음으로 출렁이는 백마강을 내려다보며
나는 한 방울의 눈물에도 촉촉해지는
천 년의 이끼가 되고 싶었다.
2016. 10. 21
『대전문학』 74호(2016년 겨울호)
『시문학』 2017년 8월호
『시학과 시』창간호(2019년 봄호)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