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869건
글
코로나에 갇힌 봄
비둘기 콕콕콕콕 유리창 두드린다.
매화 봉오리에 봄물이 오르는데
방문을 닫아걸고서 하루 종일 뭘 하냐고
시詩를 읽어봐야 바람 든 무맛이다.
태엽 풀린 시계처럼 하루는 늘어지고
봄날은 코로나에 갇혀 오도 가도 못하네.
피하고 도망만 가면 꽃피는 봄 못 보리라.
떨치고 일어서서 절망을 이겨내세.
나라가 어려울수록 혼자 살려 하지 말자.
2020. 2. 28
글
고목古木에게
가끔은 너를 위해서
몇 송이 쯤 꽃 피우렴.
저녁놀 지는 삶에
시도 쓰고 노래도 하며
불꽃을 피워 올리듯
멋진 사랑도 하여보렴.
젊음이 익었다는 건
흔들림도 멈췄다는 것
때 묻은 도화지에도
예쁜 그림 그릴 나이
인생을 장미 빛으로
다시 한 번 그려보자.
2020. 2. 17
글
섬
봄비 그치면
둑길 위에 섬 하나 지어놓고
그 섬에 갇혀보자,
민들레 꽃대 위에
그대 얼굴 피워놓고
때로는 함께 걷는 일보다
혼자 그리워하는 일이
아름답다고 생각하자.
그 섬에는
눈물 같은 것은 살게 하지 말자.
사랑하는 사람의
눈웃음 같은
따뜻한 것들만 가득 살게 하자.
2020. 2. 14
글
꽃 한 송이의 기적
산수유 꽃이 피었습니다.
세상의 겨울이
말끔히 사라졌습니다.
기아飢餓에 허덕이는 마을에
당신이 보내준 작은 온정처럼
저 연약한 꽃 한 송이
무엇을 만든 것일까요.
눈보라로 덮여있던 사람들의 가슴은
더 이상 춥지 않을 것입니다.
집집마다 꽁꽁 닫혀있던 문들도
서로를 향해 활짝 열릴 것입니다.
그믐의 어둠인 듯 막막하던 뜨락에
편지에 담아 전한 당신의 미소처럼
산수유 꽃 한 송이
세상을 환하게 밝혔습니다.
2020. 2. 7
『충청예술문화』96호(2020년 3월호)
글
칡꽃
사랑도 집착이라
칭칭 감고 올라가서
자줏빛 환희를
마디마다 매달았네.
갈등葛藤을
꽃으로 삭여
풀어내는 저 함성
2020. 1. 30
글
봄날
이쁜이는 열여덟 살
푹 익은 찰 토마토
타는 몸 붉다 붉다
터질 듯 꼭지 돌아
눈웃음 살짝 보내면
톡 하고 떨어지겠네.
2020. 1. 6
글
설화雪花
옷 벗은 빈 산하山河엔 달빛이 창백한데
홀연 함성처럼 일어서는 북 소린가
새벽에 박수 치며 온 저 사나이 너털웃음
시들었던 팔과 다리 넘치는 빛의 향연饗宴
깨어진 아픔 위에 덧 피어난 무궁화여
청년아, 서릿발 같은 깃발 하나 세우거라.
2020. 1. 5
글
은행나무에게
외로움을 선택했구나.
그래서 열매도 맺지 않았구나.
싹트면 제 알아서 자라는 것들
아예 씨조차 뿌리지 않았구나.
근심을 거부하면서
네 집 문전엔 웃음 한 송이 필 날 없겠지.
커피 잔을 들어도 마주 대는 사람 하나 없고
네가 꺼놓고 나간 거실의 불은
어둠인 채로 너를 맞을 것이다.
채우면서 살아가라.
어치 두 마리 네 어깨에 앉아
고개를 갸웃대고 있다.
네 삶의 겨울에 네게서 끊어진 자리
여백으로 그냥 남기려느냐.
소소하게 반짝이는 근심을
즐겁게 마시면서 살아가라.
외롭게 외롭게 사라지기보다는
세상에 네 왔다간 점 하나 찍어놓아라.
2019. 12. 30
『대전문학』87호(2020년 봄호)
글
아내의 푯말
아내가
가슴 속에
푯말 하나 세웠다기에
깊은 밤 꿈을 열고
마음 살짝 엿봤더니
“정 헤픈
남자는 사절"
붉은 글씨로 써 있네.
2019. 12. 14
글
12월의 장미
한 철의 사랑만으론
목이 탔는가.
너무 뜨거워 서러운
내 사랑이
바람의 채찍을 맞고 있다.
사람들은 눈보라 속에 핀
장미를
불장난이라 탓하지만
어쩌겠는가.
참고 참아도 활화산처럼
터져버리고 마는 마음인데…
2019. 12. 3
『대전문학』90호(2020년 겨울호)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