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869건
글
스승의 날에
이팝나무에
아이들 얼굴이 조롱조롱 피어난다.
그 사람 지금
어디서 무얼 할까.
그리워할 이름 많아서 좋다.
아이스크림 한번만 돌려도
세상을 다 가진 듯
좋아하던 아이들
체육대회에서 꼴찌를 해도
미친 듯이 응원하던
그 흥은 아직 남았을까.
보고 싶은 사람이 많다는 것은
미워할 사람이 많은 것보다
얼마나 고마운 삶인가.
날마다 드리는
간절한 나의 기도가
제자들의 앞길을
꽃길로 바꿔주었으면 좋겠다.
이팝 꽃으로 환하게 웃고 있는
얼굴들을 향해
뻐꾸기 노래로 박수를 보낸다.
2020. 5. 15
글
연꽃 같은 사람
장덕천 시인을 보며
당신은
새벽을 열고 피어난
연꽃 같은 사람
도시의 아픔은
그대 널따란 잎새에 앉았다가
아침 이슬로 걸러져
대청호 물빛이 되고
연향에 취해있던 호수의 바람은
향기의 지우개로
온 세상 그늘을 지워주러 간다.
영혼이 너무 따뜻해서
삶의 꽃술 하나하나가
시처럼 아름다운 사람
오늘도 대청호는
그대 한 송이 피어있어서
찰싹이는 물결소리에서도
향내가 난다.
2020. 6. 11
『문학사랑』133호(2020년 가을호)
글
초대장
그대가 사는 곳이
골 깊고 길 험해서
어스름 짙어지자
가는 길 망설였더니
험한 길 살펴오라고
둥그렇게 달 띄웠네.
2020. 6. 7
글
장미 빛깔의 말
무슨 꽃이냐고
어제도
그제도 그끄제도 묻지만
환하게 웃으면서
장미꽃이라 대답합니다.
백 번 천 번을 물어도
지워진 백지에
다시 도장이 찍힐 때까지
장미 빛깔의 말로
대답할래요.
“사랑”이라고
2020. 5. 30
『시문학』2020년 8월호
글
지렁이 아빠
날씨 좋은 날
지렁이가 길로 나왔어요.
개미 몇 마리 물어뜯을 때마다
옴찔거리는 지렁이
손으로 집기는 징그럽고
묵은 갈대를 꺾어 젓가락질 합니다.
몸부림치는 지렁이를
풀숲 땅에 묻어주고는
해님처럼 환하게 웃어줍니다.
오늘 태균이는
지렁이 아빠
2020. 5. 27
『한밭아동문학』21호 2020년
글
사월 아침
명자 꽃이 환하게 피었습니다.
절뚝거리며
한사코 도망가는 비둘기와
붕대를 들고
쫓아가는 소녀 하나
비둘기는 알 리가 없지요.
걱정스러운 소녀의 마음을
쫓기다 쫓기다
포르르 날아가는 비둘기 뒤로
소녀 울음만
명자 꽃처럼 빨갛게 익었습니다.
2020. 5. 23
『한밭아동문학』21호 2020년
글
이달의 문제작〈시〉
다시, 상징
김지숙〈시인、문학평론가〉
나이는 마음이다.
스물이라 생각하면 가슴에서
풀잎의 휘파람 소리가 나다가도
일흔이라 생각하면
은행잎 노란 가을이 내려앉는다.
일흔이라도
스물처럼 살자.
언제나 봄의 빛깔로 살아가자.
-엄기창, 「나이의 빛깔」전문
휠라이트는 언어의 긴장감의 정도에 따라 상징을 협의의 상징과 장력상징으로 나눈다. 협의로서의 상징은 관습적 상징을 또 다른 말로 칭한 것으로 사회나 조직 내에서 부르는 의미가 한정된 상징을 말한다면, 장력상징은 필연적으로 의미가 만들어지므로 다소 애매한 점을 특징으로 든다. 이는 개인에 의해 탄생되므로 반드시 개인의 내적 특징이 가미되어 의미가 조직되는 점이 필수 요소로 작용하는데 여기에는 개인만의 깊은 상상력과 연상이 관련된다.
상징은 어떤 내적 상상력에 힘입어 이미지가 창작되는지 살펴보는 과정에서 필요하며 이는 구체적인 실체가 없지만 이들이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어떤 것이 어떤 실체로 드러나는 지의 모습을 찾는 것으로 완성도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상징은 개인이 시에서 각각 다른 의미를 부여하므로 언제나 새롭게 탄생되며 그 대상은 늘 새로운 창조물이 되는 특징을 띤다. 물론 시인이 의도한 관념이나 비가시적인 이념을 암시하기도 하고 가시적이고 구체적인 대상이 상징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그래서 시에 비가시적인 내용은 드러나지 않고 이를 암시하는 구체적인 상징만이 드러난다. 예를 들어 공자는 은행나무 아래 단을 만들어 제자를 가르쳤기에 공장의 말씀을 가르치는 곳을 ‘행단’이라 하고 후에 은행나무는 교육과 청렴의 상징으로 상징되었으며, 1억 5천만 년 전부터 지구에 살아왔으며 빙하기에도 살아남은 살아 있는 화석이라 칭하는 것도 은행나무가 지닌 상징성에 기인된다. 김수영의 ‘풀’(「풀」)은 인간을 상징하며 박성룡의 ‘풀’(「풀잎」)은 선한 자연의 힘을 표상한다.
엄기창의 시 「나이의 빛깔」에서 ‘은행나무’는 ‘풀’과 대조를 이루는 사물로 표상된다. 화자는 사람의 나이를 젊고 힘 있을 때의 사물은 ‘풀’로, 푸릇한 휘파람소리를 내는 ‘풀잎’으로 표상되고 나이든 때의 모습은 가을이 내려앉은 노란 ‘은행나무’에 견준다. 시에 나타나는 ‘풀’은‘젊음의 힘’ ‘유연성’ ‘승리‘ 등을 상징하며, ‘은행잎’(나이의 빛깔)은 퇴락의 의미를 지닌다. 노란색은 시각적 특성으로 보면 두 분류로 나뉜다. 그것은 ‘명랑’ ‘힘참’ ‘전진’ ‘행운’ 등을 의미한다. 또한 황금색으로 보면 ‘스스로 빛을 내는 존재’ ‘부귀영화’ ‘역동성’ ‘즐거움’ ‘생동감’등을 뜻한다. 반면 차갑고 퇴락하는 의미와 연상되는 참회자로서의 성직자를 상징하는 색의 의미를 지닌다. 시에서 ‘은행나무’는 긍정적인 의미를 지니기보다는 푸릇한 ‘풀’의 나이로 살아가고픈 화자의 심정을 감안할 때에 후자의 의미를 더 강하게 내포한다.
『시문학』582호(2020년 1월호)
글
물의 말
마음을 다 굽히고 낮은 곳만 향하더니
하구에서 다시 보니 산 하늘 다 품었네.
한사코 몸으로 보인 물의 말을 알겠네.
2020. 5. 20
글
권력의 얼굴
정의를 앞세울수록 정의로운 사람 없다.
겉모습은 화려한데 뒤는 저리 더러울까.
권력은 속옷과 같아 오래될수록 오물 범벅
2020. 5. 22
글
둑길에서
반듯하게 걷지 않아도 좋다.
삶의 굽이만큼
구부러진 꼬부랑길
민들레꽃이 피었으면
한참을 쪼그려 앉아
함께 이야기하다 가도 좋고
풀벌레 노랫소리 들리면
나무로 서서 듣고 있다가
나비처럼 팔랑거려도 좋다.
달리지 않아도
재촉하는 사람 하나 없는 세상
내가 좋아하는 것들은
모두 둑길에 모여 있다.
2020. 5. 21
RECENT COMMENT